맨위로가기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현재까지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1936년 동계 올림픽부터 1948년 동계 올림픽을 제외한 모든 동계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56년 멜버른, 2000년 시드니에서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2032년 브리즈번에서 세 번째 하계 올림픽을 개최할 예정이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총 58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고, 동계 올림픽에서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4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 2010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2010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싱가포르에서 열린 대회에서 육상, 수영 등 다양한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4개, 은메달 4개, 동메달 4개를 포함한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올림픽 정보
NOCAUS
NOC 명칭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www.olympics.com.au
하계 올림픽 출전 횟수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동계 올림픽 출전 횟수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하계 청소년 올림픽 출전 횟수2010 2014
동계 청소년 올림픽 출전 횟수2012 2016
관련 참가국(1908-1912)
메달 집계
종합 순위14
금메달188
은메달199
동메달232
총 메달 수619
기타
참고1906년 중간 올림픽
과거 코드(1908–1912)
2012년 오스트레일리아 유니폼http://corporate.olympics.com.au/news/athletes-thrilled-with-opening-ceremony-uniform

2. 역사

오스트레일리아(호주)는 근대 올림픽이 시작된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초기에는 뉴질랜드와 함께 오스트랄라시아라는 이름으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대표단을 보냈다. 이는 뉴질랜드 출신의 육상 행정가 레너드 커프가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 영국 아마추어 육상 연맹의 찰스 허버트와 협력하여 1894년 첫 IOC 회의에 오스트랄라시아 대표를 조직한 결과였다. 처음에는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 선수가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 참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런던에서 활동하던 오스트레일리아 회계사이자 아마추어 선수인 에드윈 플랙이 휴가를 내어 아테네로 가서 800m1500m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올림픽 참가 선수이자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2]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1908년 하계 올림픽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으로 참가했지만, 1920년부터는 별도의 국가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3]

오스트레일리아는 남반구 국가 중 최초로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1956년 하계 올림픽멜버른에서,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또한 2032년 하계 올림픽브리즈번에서 개최할 예정으로, 세 번째 하계 올림픽 유치에 성공했다.[4]

오스트레일리아는 전통적으로 하계 올림픽에서 강세를 보여왔으나,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에서는 예상외의 부진을 겪었다. 1956년 멜버른 올림픽 이후 꾸준히 금메달을 획득해왔던 것과 달리, 몬트리올에서는 단 한 개의 금메달도 따지 못하고 총 5개의 메달(은메달 1, 동메달 4) 획득에 그쳤다. 이는 1936년 하계 올림픽 이후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결과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러한 부진을 계기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스포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81년 국립 스포츠 연구 기관인 호주 스포츠 연구소(Australian Institute of Sport, AIS)를 설립했다. AIS 설립 이후 오스트레일리아의 올림픽 성적은 눈에 띄게 향상되어,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는 매 대회 20개 이상의 메달을 꾸준히 획득했으며, 대회당 평균 11개의 금메달을 따내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5][6]

하계 올림픽에 비해 동계 올림픽 참가는 늦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는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 올림픽부터 동계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당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였던 켄 케네디가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동계 올림픽 선수로 참가하여 4개 종목에 출전했고, 500m에서 29위를 기록했다. 이후 1952년 동계 올림픽부터는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하고 있다. 오랜 참가 역사에도 불구하고 첫 메달 획득까지는 시간이 걸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남자 5000m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의 감격을 누렸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알파인 스키 선수 잘리 스테갈이 여자 회전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동계 올림픽 개인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오스트레일리아 동계 올림픽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이는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결실을 보았다.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스티븐 브래드버리가 남자 1000m에서, 프리스타일 스키의 앨리사 캠플린이 여자 에어리얼에서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며 오스트레일리아에 첫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안겼다. 특히 브래드버리의 금메달은 남반구 국가 최초의 동계 올림픽 금메달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7]

3. 올림픽 개최 및 유치

오스트레일리아는 하계 올림픽을 여러 차례 개최하였으며, 상세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이 세 차례의 올림픽 유치에는 실패하였다:[8]


3. 1. 개최한 대회

오스트레일리아는 하계 올림픽을 두 번 개최했으며, 2032년에 세 번째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올림픽개최 도시개최 기간참가국참가 선수세부 종목
1956년 하계 올림픽멜버른, 빅토리아11월 22일–12월 8일723,314151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9월 15일–10월 1일19910,651300
2032년 하계 올림픽브리즈번, 퀸즐랜드7월 23일–8월 8일미정미정미정


3. 2. 유치 실패

(내용 없음)

4. 올림픽 참가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다. 역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안방에서 열린 2000년 시드니 올림픽으로 총 58개의 메달을 기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서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종목별로는 하계 올림픽의 경우 수영(마라톤 수영 포함)에서 총 232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가장 강세를 보였고, 동계 올림픽에서는 프리스타일 스키 종목에서 총 9개의 메달을 따내며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는 스티븐 브래드버리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남반구 국가 출신 선수 최초의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는 역사를 만들었다.

4. 1. 하계 올림픽

호주는 1896년 첫 대회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뉴질랜드와 함께 오스트랄라시아라는 이름으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대표단을 보냈다. 이는 뉴질랜드 출신의 육상 행정가 레너드 커프와 영국 아마추어 육상 연맹의 찰스 허버트가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과 협력하여 1894년 첫 IOC 회의에서 조직한 결과였다. 당시 호주나 뉴질랜드 선수가 18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런던에서 활동하던 호주 회계사이자 아마추어 선수인 에드윈 플랙이 휴가를 내어 아테네로 가서 800m1500m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호주 최초의 올림픽 참가 및 메달 획득 기록을 세웠다.[2] 호주와 뉴질랜드는 1908년 하계 올림픽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으로 함께 참가했지만, 1920년부터는 각자 별도의 국가로 참가하고 있다.[3]

호주는 남반구 국가 중 최초로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1956년 하계 올림픽멜버른에서,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또한, 2032년 하계 올림픽브리즈번에서 개최할 예정으로, 세 번째 하계 올림픽 유치 기록을 세우게 된다.[4]

호주는 전통적으로 하계 올림픽에서 강세를 보여왔으나,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없이 단 5개의 메달(은메달 1, 동메달 4)만을 획득하는 부진을 겪었다. 이는 1936년 하계 올림픽 이후 처음으로 금메달을 따지 못한 결과였으며, 호주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러한 부진을 계기로 호주 정부는 스포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81년 호주 스포츠 연구소(Australian Institute of Sport, AIS)를 설립했다. AIS 설립 이후 호주의 올림픽 성적은 꾸준히 향상되어,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는 매 대회 20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회당 평균 11개의 금메달을 따내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5][6]

지금까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안방에서 열린 2000년 시드니 올림픽으로, 총 58개(금 16, 은 25, 동 17)의 메달을 기록했다. 호주는 특히 수영(마라톤 수영 포함) 종목에서 강세를 보여 총 232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육상, 사이클, 조정 등에서도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올림픽선수합계순위
그리스 1896년 하계 올림픽120028
프랑스 1900년 하계 올림픽320359
미국 1904년 하계 올림픽3031411
영국 1908년 하계 올림픽오스트랄라시아의 일부로 참가
스웨덴 1912년 하계 올림픽
벨기에 1920년 하계 올림픽13021316
프랑스 1924년 하계 올림픽37312611
네덜란드 1928년 하계 올림픽18121419
미국 1932년 하계 올림픽12311510
나치 독일 1936년 하계 올림픽33001130
영국 1948년 하계 올림픽772651314
핀란드 1952년 하계 올림픽81623119
오스트레일리아 1956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31413814353
이탈리아 1960년 하계 올림픽188886225
일본 1964년 하계 올림픽2346210188
멕시코 1968년 하계 올림픽175575179
서독 1972년 하계 올림픽173872176
캐나다 1976년 하계 올림픽184014532
소련 1980년 하계 올림픽123225915
미국 1984년 하계 올림픽24048122414
대한민국 1988년 하계 올림픽2703651415
스페인 1992년 하계 올림픽29079112710
미국 1996년 하계 올림픽4249923417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630162517584
그리스 2004년 하계 올림픽482171617504
중국 2008년 하계 올림픽433141517466
영국 2012년 하계 올림픽41081512358
브라질 2016년 하계 올림픽422811102910
일본 2020년 하계 올림픽47017722466
프랑스 2024년 하계 올림픽461181916534
미국 2028년 하계 올림픽개최 예정
오스트레일리아 2032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개최 예정
합계1821922266004


4. 2. 동계 올림픽

호주는 1936년 동계 올림픽부터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켄 케네디가 최초의 호주 동계 올림픽 선수이자 유일한 대표 선수로 참가하여 1936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4개 종목에 출전했고, 500m에서 29위를 기록했다.[7] 이후 1948년 동계 올림픽에는 불참했으나, 1952년 동계 올림픽부터는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하고 있다.

오랜 참가 역사에도 불구하고 첫 메달 획득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의 남자 쇼트트랙 5000m 계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마침내 첫 메달을 신고했다.[7]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잘리 스테갈이 알파인 스키 여자 회전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호주 최초의 개인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 메달을 계기로 호주 동계 올림픽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이는 이후 성적 향상에 기여했다.[7]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호주는 역사적인 첫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스티븐 브래드버리가 쇼트트랙 남자 1000m에서 극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남반구 국가 출신 선수 최초의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앨리사 캠플린은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에어리얼에서 금메달을 추가했다.[7]

호주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동계 올림픽 참가 사상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호주는 특히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역대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바이애슬론0000
봅슬레이0000
스켈레톤0101
컬링0000
아이스하키0000
루지0000
피겨 스케이팅000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012
스피드 스케이팅0000
알파인 스키0011
크로스컨트리 스키0000
프리스타일 스키4329
노르딕 복합0000
스키 점프0000
스노보드1326
밀리터리 패트롤
(시범 종목)
0000
합계67619


5. 선수 및 메달 집계

다음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여 최소 3개 이상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의 목록이다. 1906년 중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은 포함되지 않으며, 메달이 수여되기 전인 1896년1900년의 3위권 내 입상도 포함된다.

선수종목출전 연도올림픽성별합계
엠마 매키언수영2016–2024하계63514
이언 소프수영2000–2004하계5319
케이리 매키언수영2020–2024하계5139
''몰리 오캘러한'''수영2020–2024하계5128
던 프레이저수영1956–1964하계4408
아리안 티트머스수영2020–2024하계4318
케이트 캠벨수영2008–2020하계4138
리비 트리켓수영2004–2012하계4127
머레이 로즈수영1956–1960하계4116
베티 커스버트육상1956–1964하계4004
레이슬 존스수영2000–2012하계3519
페트리아 토마스수영1996–2004하계3418
그랜트 해킷수영2000–2008하계3317
에밀리 시봄수영2008–2020하계3317
앤드루 호이승마1984–2020하계3216
셜리 스트릭랜드육상1948–1956하계3137
제시카 폭스카누2012–2024하계3126
셰인 굴드수영1972하계3115
드루 긴조정1996–2012하계3104
제임스 톰킨스조정1992–2004하계3014
브론테 캠벨수영2012–2024하계3014
매튜 라이언승마1992–2000하계3003
레셸 호크스필드하키1988–2000하계3003
조디 헨리수영2004하계3003
스테파니 라이스수영2008–2012하계3003


  •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활동 중인 선수이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데일 베그-스미스와 토라 브라이트가 각각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가장 성공적인 선수로 기록되어 있다. (스티븐 브래드버리, 앨리사 캠플린, 리디아 라실라는 각각 금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엠마 매키언은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포함하여 총 7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단일 대회 최다 메달 획득 기록을 세웠다. 한편, 농구 선수 로렌 잭슨은 금메달 없이 5번의 다른 올림픽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이다.

5. 1. 종목별 선수 및 메달 집계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의 다양한 종목에 참가하여 메달을 획득했다. 자세한 종목별 선수 및 메달 집계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현재의 메달 집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위원회(AOC)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메달 수치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AOC는 1908년1912년오스트랄라시아 연합팀 소속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들이 획득한 메달 10개(금 3, 은 4, 동 3)와 1896년 에드윈 플랙이 테니스에서 혼성팀 소속으로 획득한 동메달 1개를 포함하여 집계한다. 이에 따라 AOC는 오스트레일리아가 하계 올림픽에서 총 611개의 메달(금 185, 은 196, 동 230)을 획득했다고 본다.[9]

5. 1. 1. 하계 올림픽 종목별 집계

wikitext

종목남자여자합계
합계
수영
177173350565760173
육상
28515544019242770
사이클
1502517513161342
조정
2466731310101232
요트
1111712874819
승마43216463211
하키
1276819543411
사격
722810041510
다이빙
27275432611
카누
7530105271120
트라이애슬론
78151214
테니스
1912311135
역도
525571124
태권도
67131102
레슬링
681691012
비치발리볼
611171012
양궁
1511261012
수구
98311291012
농구
89411300314
복싱
990990134
소프트볼
033330134
야구
590590101
체조
2651770101
유도
4219610022
근대5종
183210000
배구
2012320000
배드민턴
1213250000
싱크로나이즈
240240000
축구
109281370000
탁구
118190000
펜싱
4720670000
핸드볼
1515300000
합계21569403096132139167438


5. 1. 2. 동계 올림픽 종목별 집계

wikitext

종목남자여자합계------합계
프리스타일스키
1212243115
쇼트트랙
125171012
스노보드
85131001
알파인스키
2514390011
노르딕복합
1010000
루지
1230000
바이애슬론
3250000
봅슬레이
193220000
스켈레톤
2350000
스피드스케이팅
8190000
아이스하키
170170000
크로스컨트리
123150000
피겨스케이팅
1214260000
합계132641964138


5. 1. 3. 하계 청소년 올림픽 종목별 집계

wikitext

종목남자여자합계------합계
-- 수영44846616
-- 육상116171304
-- 복싱2021102
-- 카누1121001
-- 하키160161001
-- 조정2240112
-- 농구0440101
-- 트라이애슬론1120101
-- 체조2790011
-- 근대5종1010000
-- 다이빙0110000
-- 레슬링2130000
-- 배드민턴1120000
-- 사격2130000
-- 사이클4040000
-- 승마 1010000
-- 양궁1120000
-- 역도1120000
-- 요트1120000
-- 탁구0110000
-- 핸드볼014140000
합계5347100813829


5. 2. 대회별 선수 및 메달 집계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의 올림픽 대회별 참가 선수 및 메달 획득 현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 하계 올림픽
  • 동계 올림픽
  • 하계 청소년 올림픽

5. 2. 1. 하계 올림픽 대회별 집계

오스트레일리아는 초기 하계 올림픽인 1896년 하계 올림픽, 1900년 하계 올림픽, 1904년 하계 올림픽에 독자적으로 참가하였다. 이후 1908년 하계 올림픽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뉴질랜드와 함께 오스트랄라시아(ANZ)라는 단일팀을 이루어 참가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20년 하계 올림픽부터는 다시 오스트레일리아(AUS)라는 이름으로 독자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대회선수단 규모합계순위
그리스 왕국 1896년 하계 올림픽120028
프랑스 1900년 하계 올림픽320359
미국 1904년 하계 올림픽3031411
영국 1908년 하계 올림픽오스트랄라시아(ANZ)의 일원으로 참가
스웨덴 1912년 하계 올림픽
벨기에 1920년 하계 올림픽13021316
프랑스 1924년 하계 올림픽37312611
네덜란드 1928년 하계 올림픽18121419
미국 1932년 하계 올림픽12311510
독일 1936년 하계 올림픽33001130
영국 1948년 하계 올림픽772651314
핀란드 1952년 하계 올림픽81623119
오스트레일리아 1956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31413814353
이탈리아 1960년 하계 올림픽188886225
일본 1964년 하계 올림픽2346210188
멕시코 1968년 하계 올림픽175575179
서독 1972년 하계 올림픽173872176
캐나다 1976년 하계 올림픽184014532
소련 1980년 하계 올림픽123225915
미국 1984년 하계 올림픽24048122414
대한민국 1988년 하계 올림픽2703651415
스페인 1992년 하계 올림픽29079112710
미국 1996년 하계 올림픽4249923417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630162517584
그리스 2004년 하계 올림픽482171617504
중국 2008년 하계 올림픽433141517466
영국 2012년 하계 올림픽41081512358
브라질 2016년 하계 올림픽422811102910
일본 2020년 하계 올림픽47017722466
프랑스 2024년 하계 올림픽461181916534
미국 2028년 하계 올림픽개최 예정
오스트레일리아 2032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개최 예정
합계1821922266004


5. 2. 2. 동계 올림픽 대회별 집계

wikitext


5. 2. 3. 하계 청소년 올림픽 대회별 집계

wikitext

종목2010년
-- 근대5종
-- 농구
-- 다이빙
-- 레슬링
-- 배드민턴
-- 복싱
-- 사격
-- 사이클
-- 수영
-- 승마
-- 양궁
-- 역도
-- 요트
-- 육상
-- 조정
-- 체조
-- 카누
-- 탁구
-- 트라이애슬론
-- 하키
-- 핸드볼


6. 역대 참가 종목

(내용 없음 -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1. 하계 올림픽 참가 종목

오스트레일리아는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수영 종목에 참가했다. 당시 프레데릭 레인 선수가 2개 종목에 출전하여 모두 금메달을 획득했다. 수영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전통적인 강세 종목으로, 2020년 하계 올림픽 기준으로 하계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금메달 수 2위, 총 메달 수 2위를 기록하고 있다 (1위는 미국).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수영767876230



오스트레일리아는 1896년 첫 올림픽부터 육상 경기에 참가했다. 당시 에드윈 플랙 선수 1명이 3개 종목에 출전하여 그중 2개 종목에서 우승했다.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육상22293283[10]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요트149831



스케이트보드에서는 키건 파머가 2020 도쿄 올림픽 남자 파크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오스트레일리아에 첫 스케이트보드 메달을 안겼다.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키건 파머와 아리사 트루가 각각 남자 및 여자 파크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896년 첫 올림픽부터 테니스에도 참가했다. 당시 남자 단식에 선수 1명이 출전했고, 혼성팀의 일원으로 남자 복식에도 참가했다. 에드윈 플랙은 단식 1라운드에서 탈락했지만, 영국의 조지 S. 로버트슨과 조를 이루어 복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다만 이 메달은 혼성팀의 메달로 기록되어 오스트레일리아의 메달 집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오스트레일리아가 획득한 첫 테니스 금메달은 1996년 남자 복식에서 토드 우드브리지와 마크 우드포드 조(우디스)가 획득한 것이다. 이 조는 4년 후 같은 종목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유일한 은메달도 획득했다. 2024년에는 매튜 에브덴과 존 피어스가 남자 복식에서 우승하여 오스트레일리아에 두 번째 테니스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테니스2147[11]


참조

[1] 웹사이트 2012 Australian uniform http://corporate.oly[...] 2016-08-27
[2] 웹사이트 Australia’s first Olympian https://www.nma.gov.[...] 2024-08-09
[3] 웹사이트 100 years of the AOC https://www.olympics[...] 2024-08-04
[4] 웹사이트 100 years of the AOC https://www.olympics[...] 2024-08-04
[5] 웹사이트 Australia's Olympic Medal Tally - Summer Games https://www.topendsp[...] 2024-08-04
[6] 웹사이트 Sporting greats share fears for Australia's Olympic standing as Australian Institute of Sport marks 40 years https://www.abc.net.[...] 2024-08-04
[7] 웹사이트 100 years of the AOC https://www.olympics[...] 2024-08-04
[8] 웹사이트 100 years of the AOC https://www.olympics[...] 2024-08-04
[9] 웹사이트 St Louis 1904 https://www.olympics[...] 2019-08-19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Team Australia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